본문 바로가기
경제경영

채권용어(채권과 금리 관계 그리고 수익률)

by 아카식 레코드 777 2022. 7. 27.

※ 개요

 

채권과 금리는 요즘 많이 나오는 단어들입니다. 왜냐하면 금리를 인상한다고 하면 채권시장이 요동치기 때문입니다. 만약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를 급격히 올리는 자이언트스텝(0,75%p)을 단행하면 채권의 가격은 하락으로 이어집니다. 이 현상을 알려면 채권과 금리의 괸계를 살펴보아야 합니다. 

 

 

※ 채권관련 용어

 

우선 채권과 금리 관련 단어들을 살펴보겠습니다. 

 

채권: 발행자가 소유자에게 일정기간 동안 미리 약속한 금액을 지급할 의무를 명시한 증권

 

 

할인율(=수익률): 채권을 통해서 볼 수 있는 수익률이며, 할인율은 보통 만기까지 기다리지 않고 중간에 매매를 할 때 사용되는 지표이다. 액면이자율과 다른 개념입니다.

 

미국 달러

 

액면가: 채권 만기일에 채권소유자에게 지급하는 금액

 

 

액면이자율: 액면가 1달러당의 연간 이자 지급액

 

 

무이표채: 액면이자를 지급하지 않는 채권으로 액면가에서 할인된 가격에 거래되며 만기일에 단 한 번 액면가를 지급하는 채권

 

 

회사채: 일반 회사가 발행하는 채권

 

 

수의상환채권: 채권 발행자가 정해진 상환기간 동안 미리 정해진 수의상환 가격으로 재매입 할 수 있는 채권

 

 

전환사채: 채권 소유자에게 채권과 그 회사의 보통주를 미리 정해진 수량만큼 교환할 수 있도록 선택권을 부여한 채권

 

 

풋채권: 소유자가 일정한 날짜에 액면가를 상환받거나 만기를 연장할 수 있는 선택권을 갖는 채권

 

 

변동금리채권: 액면이자율을 특정 시장금리에 따라 정기적으로 재수정하는 채권

 

 

외국채권: 채권이 발행되는 국가 이외의 국가 차입자가 발행하는 채권-ex) 양키본드, 사무라이본드, 불독본드, 아리랑본드

 

 

유로채권: 발행자 국가의 통화로 표시되지만 자국 이외의 국가에서 발행되는 채권-ex) 유로달러시장, 한국기업이 미국가서 원화로 발행

 

 

역변동금리채권: 이자율 수준이 오르면 액면이자율이 내리는 채권

 

 

자산유동화채권: 주택이나 자동차 등 복수의 자산들을 담보로 유동화하여 발행하는 채권

 

 

현물지급채권: 이자를 현물이나 다른 채권을 발행하여 지급하는 채권

 

 

재해채권: 지진 발생여부에 따라 최종 지급금이 달라지는 채권

 

 

투기등급채권(investment grade bond): S&P에서 BBB 등급 이상 혹은 Moody's 에서 Baa 등급 이상을 받은 채권

 

 

만기수익률(yield to maturity; YTM): 채권 지급금의 현재가치가 채권가격과 일치하도록 만드는 할인율. 만기수익률은 투자자가 얻는 확실한 수익률은 아니다. 

 

 

할증채권(premium bonds): 액면가보다 높은 가격에 거래되는 채권

 

 

할인채권(discount bonds): 액면가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되는 채권

 

 

실현 복리수익률: 액면이자를 전부 만기까지 재투자할 때 채권의 복리수익률

 

 

재투자 수익률 위험: 채권 액면이자를 재투자한 누적 미래가치를 둘러싼 불확실성

 

 

 

※ 채권과 금리의 관계

 

채권과 금리는 반비례 관계를 가집니다. 만약 금리가 하락한다면 채권의 가격은 상승합니다. 반대로 금리가 상승하면 채권의 가격은 하락합니다. 왜냐하면 만약 금리가 하락할 시 새롭게 발행되는 채권의 액면이자율은 기존 채권의 액면이자율보다 낮게 발행이 됩니다. 그러므로 상대적으로 금리 하락전에 발행된 채권은 귀해지기에 수요가 많아지고 채권의 가격은 상승합니다.  

 

댓글0